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블로그 관리 팁

블로그 처음 운영할 때 최적화를 위한 세팅 방법(티스토리)

by 소우주아빠 2023. 9. 21.

목차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개설 운영하시는 분들을 위해 초기 세팅 방법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검색 최적화를 위한 세팅이며, 기존에 블로그를 운영하신 분들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

    1. 콘텐츠 설정

     

    콘텐츠 설정
    콘텐츠 설정

     

    우선 블로그를 처음 개설하셨다면 콘텐츠-> 설정 부분으로 들어가서 위의 사진과 같이 세팅해 주면 됩니다. 저장할 글 상태는 비공개로 하셔도 되지만, 글을 발행할 때마다 기본 값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어서 귀찮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공개로 해놓는 걸 추천드립니다. 단락 앞뒤에 공백은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시고, 저작물 사용허가 표시, 상업적, 콘텐츠 변경은 비허용으로 하신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작권은 추후에 누군가 본인의 포스팅을 무단으로 퍼 갔을 때 법적 대응이 필요하실 수 있으므로 상관없다 생각하지 마시고, 미리 세팅해 놓는 걸 추천드립니다.

    2. 댓글 설정

     

    댓글 설정
    댓글 설정

     

    댓글 및 방명록 설정은 로그인한 사용자만 가능하도록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무분별한 비방 댓글 방지 목적이며, 방명록 작성도 비공개로 설정하시거나 허용하되 로그인한 사용자만 가능하게 변경하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른 블로그와 다르게 이웃과의 소통이 중요하지 않은 플랫폼이며, 정보성 글을 공유하는 목적이 강한 플랫폼이다 보니 불필요한 공간을 열어두시는 것보다는 닫아놓는 게 낫습니다.

    3. 꾸미기 설정

    스킨 변경

     

    꾸미기 설정_스킨 변경
    스킨 변경

     

    티스토리 블로그는 여러 가지 스킨을 제공합니다. 본인이 원하시는 스킨을 적용하시면 되지만 저는 Book Club 스킨을 사용드리기를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스킨마다 HTML 프로그램이 조금씩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후에 필요한 기능을 넣기 위해 HTML 코드를 삽입하실 때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으시면 적용하기 힘드실 수 있습니다. Book Club 스킨은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능에 대한 코드에 대한 자료 찾기도 편하고, 적용도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스킨마다 프로그램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스킨으로 변경하면 그 스킨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초기화됩니다. 따라서, 이미 기존에 HTML 코드를 추가한 기능이 있으면 그 부분은 다시 적용해주셔야 합니다.

    스킨 편집

    스킨 편집
    스킨 편집

     

    스킨 편집 화면으로 가신 후 홈 화면 글수와 글 목록 글수는 10개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아래로 내려보시면 리스트 타입이 기본으로 북리뷰로 되어있는데 뉴북으로 바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후에 포스팅이 쌓인 후 포스팅 리스트 사이에도 광고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뉴북 타입을 추천드리는 것입니다.

    모바일 설정

     

    모바일 설정
    모바일 설정

     

    모바일 설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모바일웹을 자동 연결해 주기 때문에 유용할 것 같지만 추후에 애드센스 광고를 적용했을 때 광고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크게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플러그인 설정

     

    플러그인 설정
    플러그인 설정

     

    플러그인은 블로그를 운영하실 때 유용한 기능들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기능을 굳이 추가하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하거나 유용한 기능들만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Daum 검색창, SNS 글 내보기, 구글 서치콘솔, 드래그 검색, 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 위치 로그 표시, 이전 발행 글 넣기, 저작권자 표시, 카테고리 글 더 보기, 코드 문법 강조 정도만 추천드리며 추후에 애드센스를 승인받으셨다면 구글 애널리틱스까지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5. 관리 설정

     

    관리 설정
    관리 설정

     

    마지막으로 관리에서 블로그 탭으로 들어가시면 기타 설정에 공개될 RSS를 50개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RSS는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포스팅을 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크롤링과 색인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를 통해 포스팅 내용을 파악하고, 포스팅 한 글을 검색엔진에 노출시켜 주기 위한 작업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그때 참조하는 게 RSS입니다. 따라서 RSS를 최대치인 50개로 설정해 두면 검색 로봇이 더 상세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노출에 유리하게 하기 위해 50개로 설정해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